기각역 설정하는 법
2019. 11. 17.
이전 글에서 검정통계량이 “채택역”안에 위치하면 귀무가설을 채택하고, 검정통계량이 “기각역”안에 위치하면 귀무가설을 기각(탈락)한다고 했었다. 이렇게 가설검정은 표본으로 뽑은 통계량이(검정통계량)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서 귀무가설의 채택과 기각 여부를 판단한다. 그런데 만약 표본으로 뽑은 검정통계량의 값이 작아서 그래프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을 때, 기각역이 오른쪽에 있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도 상황이 이상할 것이다.검정통계량이 그래프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면, 굳이 멀리 떨어져 있는 오른쪽 기각역 말고, 그냥 가까이에 있는 왼쪽 기각역과 비교를 하면 된다. 그리고 오른쪽 기각역은 모수가 얼마나 큰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값이 작은 검정통계량으로 모수가 얼마나 작은지는 판단을 못 한다. 그래서 검정통계량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