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확률이란? 어떤 실험이나 사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수”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올 확률은 1/2이라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고, 하나의 주사위를 던져서 눈금 5가 나올 확률은 1/6이라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렇게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수”로 나타낸 것이 확률이다.
그런데 확률을 나타낸 분수를 자세히 살펴보면, 위쪽에 있는 분자의 숫자는 “어떤 일이 일어날 경우의 수”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아래쪽에 있는 분모의 숫자는 “모든 경우의 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확률을 구할 때는 어떤 일이 일어날 경우의 수/모든 경우의 수를 하면 된다.
그리고 확률은 “소수”로도 나타낼 수 있는데, 동전의 앞면이 나올 확률은 1÷2를 해보면 0.5가 나온다. 그리고 눈금 5가 나올 확률은 1÷6을 해보면 0.1667이 나온다. 참고로 확률을 나타낼 때는 “분수”와 “소수” 중 아무거나 사용해도 되는데, 단지 “소수”를 사용하는 것이 보기에는 더 편하다.
또 이전 글에서 다루었듯이 확률을 나타낸 소수에 ×100을 하면, 단위가 바뀌면서 뒤에 %가 붙는다. 그래서 동전의 앞면이 나올 확률은 50%라고 나타낼 수 있고, 눈금 5가 나올 확률은 16.67%라고 나타낼 수 있다.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산과 표준편차 구하는 법 (5) | 2019.10.19 |
---|---|
분산을 구할 때 제곱하는 이유 (2) | 2019.10.18 |
분산과 표준편차란? (2) | 2019.10.17 |
모집단과 표본이란? (0) | 2019.10.16 |
확률의 범위 문제풀이 (0) | 2019.10.16 |
확률의 범위 (0) | 2019.10.15 |
확률 구하는 문제풀이 (1) | 2019.10.15 |
퍼센트 계산하는 법 (0) | 2019.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