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

검정통계량이란?

이전 글에서 다루었던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모집단의 모수가 이럴 것이다라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모수인 μpσ2을 사용해서 설정하였다. 그런데 어떤 가설이 더 타당한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계산을 할 때는 모수를 사용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시간과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모집단 전체를 조사하기는 힘들다. 그래서 통계에서는 표본을 뽑아서 표본통계량으로 계산하는데, 표본통계량을 가설검정에서는 검정통계량이라고 부른다.

단지 가설검정에서 사용하는 통계량이기에 검정통계량이라고 부를 뿐, 별다른 큰 의미는 없다. 그냥 표본통계량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그리고 가설검정을 할 때는 가장 처음으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설정한다고 했었는데, 그다음에 보통 하는 것이 검정통계량 계산이다.(사람에 따라서 기각역을 먼저 구하기도 한다) 그리고 가설검정을 할 때는 그냥 막 하는 것이 아니라 확률분포를 활용하는데, 신뢰구간을 구할 때와 마찬가지로 정규분포와 t분포와 χ2분포와 F분포를 활용한다. 그래서 검정통계량도 확률분포에 따라서 “Z통계량” “t통계량” “χ2통계량” “F통계량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그런데 한 가지 주의할 점은 검정통계량으로 확률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확률분포 그래프의 x축 좌표를 구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검정통계량의 공식을 한 번 살펴보면, 그래프의 x축 좌표를 구하는 공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