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이전 글에서 모비율의 가설검정은 “모비율인 p가 이럴 것이다”라고 설정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중에서, 하나의 가설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했었다. 그리고 모비율의 가설검정은 기본적으로 “정규분포”를 사용하는데, 가설검정에서 사용하는 정규분포의 Z값은 미리 몇 가지로 정해져 있다. 해당 Z값은 아래와 같다.
1. 우리나라 성인 남자의 흡연율은 43%라고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는 담뱃값 인상으로 흡연율이 43%보다 낮아졌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에 실제로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성인 남자 1000명을 뽑아 흡연 여부를 조사하였더니, 흡연자는 총 420명이었다. 이때 흡연율이 43%보다 낮아졌다고 할 수 있는지, 유의수준 10%에서 검정하시오.
대립가설로 흡연율이 0.43보다 낮아졌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으므로, 대립가설은 “작다”로 설정한다. 그리고 표본비율은 420/1000=0.42이므로, 검정통계량을 구해보면 -0.64가 나온다.
또 유의수준 α=0.1인데, 0.1에 해당하는 Z값은 1.28이다. 그런데 왼쪽 좌표라서 -를 붙여야 하므로 기각역은 -1.28이다. 그럼 검정통계량이 “채택역”안에 위치하므로 귀무가설이 채택된다. 그래서 성인 남자의 흡연율은 43%보다 낮아졌다고 할 수 없다.
2. 선거를 앞두고 A후보의 지지율은 대략 50%정도라고 알려져 있는데, 일부에서는 지지율이 50%를 넘을 것이라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무작위로 400명을 뽑아 지지여부를 조사하였더니, 총 210명이 A후보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때 A후보의 지지율이 50%를 넘는다고 할 수 있는지,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시오.
대립가설로 A후보의 지지율이 50%를 넘을 것이라는 소리가 나오므로, 대립가설은 “크다”로 설정한다. 그리고 표본비율은 210/400=0.525이므로, 검정통계량을 구해보면 1이 나온다.
그다음 유의수준 α=0.05인데, 0.05에 해당하는 Z값은 1.645이므로, 기각역은 1.645이다. 그럼 검정통계량이 “채택역”안에 위치하므로 귀무가설이 채택된다. 그래서 A후보의 지지율은 50%를 넘는다고 할 수 없다.
3. 어느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불량률은 8%라고 알려져 있는데, 일부에서는 8%가 아니라는 의견이 나왔다. 이에 실제로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표본 160개를 뽑았더니 불량품은 2개가 나왔다. 이때 제품의 불량률에 대해서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시오.
대립가설로 제품의 불량률은 0.08(8%)이 아닐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왔는데, 0.08보다 작은지 아니면 큰지는 거론되지 않았다. 그래서 대립가설은 “같지 않다”로 설정한다. 그리고 표본비율은 2/160=0.0125이므로, 검정통계량을 구해보면 -3.15가 나온다.
그다음 유의수준 α=0.05인데, 양측검정이므로 α/2=0.025에 해당하는 Z값은 1.96이다. 그런데 양쪽으로 설정해야 하므로, 기각역은 ±1.96이 된다. 그럼 검정통계량이 “기각역”안에 위치하므로 귀무가설이 기각(탈락)된다. 그래서 제품의 불량률은 0.08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양측검정은 기각역이 양쪽으로 나뉘기 때문에, 단측검정에 비해서 “검정력”이 떨어진다.(참고) 그래서 되도록 양측검정보다는 단측검정을 하는 것이 더 좋은데, 위의 문제를 보면 검정통계량이 그래프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굳이 오른쪽 기각역은 필요가 없다. 그래서 양측검정이 아니라 그냥 좌측검정만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하지만 “문제”를 풀 때, 위와 같이 나오면 양측검정을 해야 한다) 그래서 가설검정을 할 때, 검정통계량의 위치를 파악해서 “좌측검정”이랑 “우측검정”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모집단의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설정하는 법 (0) | 2019.11.21 |
---|---|
두 모집단의 가설검정이란? (0) | 2019.11.20 |
모분산의 가설검정 문제풀이 (3) | 2019.11.20 |
모분산의 가설검정하는 법 (0) | 2019.11.20 |
모비율의 가설검정하는 법 (0) | 2019.11.19 |
모평균의 가설검정 문제풀이(σ를 모르는 경우) (1) | 2019.11.19 |
모평균의 가설검정하는 법(σ를 모르는 경우) (1) | 2019.11.18 |
모평균의 가설검정 문제풀이(σ를 아는 경우) (0) | 2019.11.18 |